본문 바로가기
교실 속 학습코칭

4. 읽기에 대하여 ③

by 삑사리K 2022. 10. 30.
반응형

 읽기는 훈련으로 분명히 계발될 수 있습니다. 읽기만 잘해도 학습 능력은 비약적으로 상승합니다. 혹시 자신이 열심히 해도 성적이 오르지 않는다고 생각하신다면 다음 제시하는 전략을 잘 숙지하시고 실천해 보시기를 권합니다.

 READ 전략
 READ 전략은 글의 핵심 내용과 세부 내용을 파악하고 문장의 관계를 분석하는 전략입니다. READ 전략은 교과서를 4번 읽는 것입니다. 4번 읽는 동안 단순히 반복해 읽는 것이 아니라 단계를 거쳐 교과서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가는 전략입니다. 처음에는 4번을 읽는 데 시간이 걸리지만 연습이 되고 익숙해지면 점차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1. 한번 읽기(Read)
 본문을 전체적으로 살펴보고 윤곽을 파악합니다. 이를 위해 빠르게 가볍게 읽습니다. SQ4R에서 훒어보기(survey) 단계와 비슷합니다. SQ4R에서 보기와의 차이점은 빠르게 전체를 읽는다는 것입니다.

 2. 평가하기(Evaluate)
 같은 내용을 두 번째 반복해 읽으면서 문단마다 중요한 핵심어를 찾아봅니다. SQ4R의 단계와 같이 핵심어에 표시하면서읽습니다. 중요한 문단이 무엇인지 평가하며 읽습니다. 중요한 단어들에 밑줄을 그어가며 읽습니다.
 노력에 비해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들은 핵심을 찾으려고 노력하기보다 그저 반복해서 읽고 외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핵심어와 세부 중심내중심 내용을 평가하기를 연습하면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학습 유형 중 별형과 세모형은 숲을 보고 나무를 보는 것이 약합니다. 동그라미형과 네모형은 나무를 보고 전체적으로 숲을 보는 것이 약합니다. 학생들이 전체적인 숲을 보면서 핵심인 나무를수 있도록 하는 단계입니다.

 3. 분석하기(Analyze)
 같은 내용을 세 번째 읽으면서 문장들의 관계를 분석하는 단계입니다. 문장과 무장을 읽으며 어느 문장이 원인인지 결과인지를 분석합니다. 그리고 문장이 원인과 결과인지 대조 관계인지 분석합니다. 이때 문장 간의 관계를 화살표로 표시하며 읽습니다.

 4. 결정하기(Decide)
 결정하기는 책을 네 번째 읽으며 본문의 주요 핵심어와 문장을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놓친 핵심어를 설명하는 문장 중 빠진 것은 없는지 확인하며 읽습니다.

 SQ4R은보기 후 한 번 읽고 넓게 공부하는 방법입니다. SQ4R은력사고력을 넓혀주는 전략입니다. 반면 READ 전략은 4번 반복해 읽으며 핵심어를 찾고 핵심 문장을 찾는데 집중하는 방법입니다. READ 전략은 꼼꼼하게 읽고 반복되는 것을 덜 지루해하는 네모형들에게 적합한 읽기 전략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전략들은 보편적인 읽기 전략입니다. 다음은 교과서를 읽을 때 어떻게 읽으면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교과서 읽기 전략

 지금 읽는 것이 어디쯤인지 파악하며 읽기
 지도는 길을 찾을 때 유익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내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모르면 지도는 길을 찾는 데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교과서를 읽을 때 먼저 교과서 목차를 봅니다. 그리고 전체 중 어느 부분을 읽고 있는지를 확인하며 읽습니다. 전체 중에 어디인지를 머리에 마인드맵으로 그려 확인해 가면서 읽도록 합니다.

 학습 목표 읽기
 학습 목표는 단원에서 무엇을 중점적으로 학습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단서입니다. 교과서를 읽을 때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이고 중요한 내용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오랜 시간 공부하는데 성적이 오르지 않아 고민하는 학생들에게는 먼저 학습 목표를 중심으로 내용을 파악해 읽도록 안내해줍니다.

 단원명과 글의 제목 집중해서 읽기
 핵심 목표를 파악한 이후에도 단원마다 기록된 단원명과 소제목에 집중하도록 합니다. 단원명과 제목은 배울 내용이 무엇인지 함축적으로 알려 줍니다. 제목을 확인하지 않고 본문부터 읽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 경우 읽은 것이 무엇과 관련된 것인지 정확한 내용 파악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먼저 단원명과 단원들 사이 소제목을 집중해서 읽고 그 소제목에 대해 질문을 하면서 읽는 것이야말로 핵심을 공부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중요한 것을 알려 주는 단서를 파악하며 읽기
 중요한 핵심을 파악하는 몇 가지 힌트가 더 있습니다. 여러 번 반복해서 나오는 내용이나 단어들, 교과서에 굵은 글씨 처리된 것, 단어나 문장들, 도표, 삽화 등으로 부연 설명된 핵심어나 내용, 글 마지막에 다시 요약한 것, 교과서 단원 마지막에 질문이 있다면 질문을 통해 묻는 내용 등입니다. 질문이 있는 경우는 먼저 질문을 읽고 본문에 해당하는 답을 찾아가며 읽도록 합니다.

 

'교실 속 학습코칭'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노트필기에 대하여 ①  (0) 2022.11.02
4. 읽기에 대하여 ④  (0) 2022.10.30
4. 읽기에 대하여 ②  (6) 2022.10.25
4. 읽기에 대하여 ①  (0) 2022.10.25
3. 동기에 대하여 ③  (9) 2022.10.23

댓글